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변수의 자료형 기본 자료형(Primitive Type) - 논리형 boolean - 문자형 char - 숫자형 정수형에는 byte, short, int, long이 있으며, 실수형에는 float, double이 있습니다. 1. 논리형(boolean) - 자료형으로는 'boolean'으로 사용하며, - 값으로는 'true'나 'false'가 올 수 있습니다. - 논리형의 변수명은 관행적으로 'is'를 주로 붙이곤 합니다. 2. 문자형(char) - Java에서는 유니코드(Unicode)를 사용하여 2바이트를 사용합니다. - 1바이트의 아스키코드(ASKII Code)값으로 표현도 가능합니다. - 리터럴은 한 문자만 입력이 가능하고 문자 앞뒤로 작은따옴표(' ')로 구분 짓습니다. - 아스키코드 표에서 'A'가 65번부터 .. 더보기
배열 메서드 메서드 Arrays.deepToStirng(Object[ ] a) - 지정된 배열의 내용을 문자열로 자세히 표현하여 반환합니다. Arrays.toString(Object[ ] a) - 배열의 내용을 문자열로 반환 Arrays.deepToString(Object[ ] a) - 다중 배열의 내용을 문자열로 반환 Arrays.equals(Object[ ] a, Object[ ] a2) - 두 개의 배열의 내용이 같으면 true를 다르면 false를 반환 Arrays.deepEquals(Object[ ] a, Object[ ] a2) - 두 개의 다차원 배열의 내용을 비교하여 같으면 true를 다르면 false를 반환 Arrays.copyOf(Object[ ] original, int newLength) - 배.. 더보기
textarea에 위지윅(WYSIWYG 에디터 적용) 1. 부분에 아래 내용 추가 2. 텍스트 area 영역 아래에 script 추가 더보기
에러 페이지 100 번대 : 현재 데이터의 처리 중인 상태 100 : 데이터의 일부를 서버가 받은 상태 200 번대 : 정상적인 응답 200 : 에러 없이 정상 처리 204 : 정상 처리되었으나 서버에서 보내줄 데이터가 없음 300 번대 : 다른 URL 처리 301 : 요청된 페이지가 새 URL로 변경되었음 304 : 이미 기존의 데이터와 변경된 것이 없음 400 번대 : 서버에서 인식할 수 없음 400 : 전송된 Request에 문제가 있어서 서버가 인식할 수 없음 403 : 서버에서 허락되지 않음 404 : URL에 해당하는 자원을 찾을 수 없음 406 : 전송 방식이 허락되지 않음 (REST에서 자주 발생) 500 번대 : 서버 내부의 문제 500 : 서버에서 처리 시 문제가 발생 502 : 게이트웨이나 프록시.. 더보기
MariaDB 사용자 계정 생성 및 사용자 권한 변경 MariaDB 접속 사용자 계정 생성 create user '계정명'@'아이피' identified by '패스워드'; - ip 부분을 localhost로 지정할 경우, localhost에서만 접속이 가능하고, 원격으로 접속이 필요한 경우 '%'를 줘서 접속을 허용하는 방식이 있다. 아직 권한을 주지 않았기 때문에, database에 접근이 불가능하다. 데이터 베이스 생성 create database db명; 사용자 계정 생성 및 권한주기 grant all privileges on atworks_ex.*to '아이디'@'localhost' identified by '비밀먼호' with grant option 계정 생성 후 MariaDB 접속 mysql -u 아이디 -p 비밀번호 더보기
DB와 DBMS 데이터베이스 : 컴퓨터에 체계적으로 저장한 데이터를 말함 DBMS(DataBaseManagement System) :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시스템 데이터 레이크(Data Lake) 정형 및 비정형( 소셜, 센서, 이미지, 동영상 등)의 다양한 형태의 원시 데이터를 모은 저장소의 집합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데이터 분석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 온라인 분석 처리) 데이터 베이스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져온 데이터의 계층을 생성한다. 주제 중심적이고 비휘발성의 특징을 갖는다. 데이터 마트(Data Mart) 특정 부서의 의사 결정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부서별 또는 부분별 데이터 웨어하우스 분석 요건을 중심으로 한 .. 더보기
싱글톤(Singleton) 가끔 전체 프로그램에서 단 하나의 객체만 만들도록 보장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단 하나만 생성된다고 해서 이 객체를 싱글톤(Singleton)이라고 한다. 싱글톤을 만들려면 클래스 외부에서 new연산자로 생성자를 호출할 수 없도록 막아야 한다. 생성자를 호출한 만큼 객체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생성자를 외부에서 호출할 수 없도록 하려면 생성자 앞에 private 접근 제한자를 붙여주면 된다. 자신의 타입인 정적 필드를 하나 선언하고 자신의 객체를 생성해 초기화한다. 참고로 클래스 내부에서는 new 연산자로 생성자 호출이 가능하다. 정적 필드도 private 접근 제한자를 붙여 외부에서 필드값을 변경하지 못하도록 막는다. 대신 외부에서 호출할 수 있는 정적 메소드인 getInstance( )를 선언하고 정적.. 더보기
LOAD MAP 1. 인터넷의 작동 원리 요약 인터넷은 웹의 핵심적인 기술이다. 인터넷에 가장 기본적인 것은, 컴퓨터들이 서로 통신 가능한 거대한 네트워크라는 것이다. 인터넷은 1960년 대 미육군에서 기금한 연구 프로젝트에서 시작 -> 1980년 대에 많은 국립 대학과 비공개 기업의 지원으로 공공의 기반으로 변화되었다. 인터넷을 지원하는 다양한 기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화 해 왔지만 작동 방식은 그다지 변하지 않았습니다. 인터넷은 모든 컴퓨터를 연결하고 어떤 일이 있어도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방법입니다. 단순한 네트워크 두 개의 컴퓨터가 통신이 필요할 때, 우리는 다른 컴퓨터와 물리적으로(보통 이더넷 케이블) 또는 무선으로(예를 들어, WiFi나 Bluetooth 시스템) 연결되어야 합니다. (무선 네트워크도 동일한 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