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_web/Java

변수의 자료형 기본 자료형(Primitive Type) - 논리형 boolean - 문자형 char - 숫자형 정수형에는 byte, short, int, long이 있으며, 실수형에는 float, double이 있습니다. 1. 논리형(boolean) - 자료형으로는 'boolean'으로 사용하며, - 값으로는 'true'나 'false'가 올 수 있습니다. - 논리형의 변수명은 관행적으로 'is'를 주로 붙이곤 합니다. 2. 문자형(char) - Java에서는 유니코드(Unicode)를 사용하여 2바이트를 사용합니다. - 1바이트의 아스키코드(ASKII Code)값으로 표현도 가능합니다. - 리터럴은 한 문자만 입력이 가능하고 문자 앞뒤로 작은따옴표(' ')로 구분 짓습니다. - 아스키코드 표에서 'A'가 65번부터 .. 더보기
배열 메서드 메서드 Arrays.deepToStirng(Object[ ] a) - 지정된 배열의 내용을 문자열로 자세히 표현하여 반환합니다. Arrays.toString(Object[ ] a) - 배열의 내용을 문자열로 반환 Arrays.deepToString(Object[ ] a) - 다중 배열의 내용을 문자열로 반환 Arrays.equals(Object[ ] a, Object[ ] a2) - 두 개의 배열의 내용이 같으면 true를 다르면 false를 반환 Arrays.deepEquals(Object[ ] a, Object[ ] a2) - 두 개의 다차원 배열의 내용을 비교하여 같으면 true를 다르면 false를 반환 Arrays.copyOf(Object[ ] original, int newLength) - 배.. 더보기
싱글톤(Singleton) 가끔 전체 프로그램에서 단 하나의 객체만 만들도록 보장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단 하나만 생성된다고 해서 이 객체를 싱글톤(Singleton)이라고 한다. 싱글톤을 만들려면 클래스 외부에서 new연산자로 생성자를 호출할 수 없도록 막아야 한다. 생성자를 호출한 만큼 객체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생성자를 외부에서 호출할 수 없도록 하려면 생성자 앞에 private 접근 제한자를 붙여주면 된다. 자신의 타입인 정적 필드를 하나 선언하고 자신의 객체를 생성해 초기화한다. 참고로 클래스 내부에서는 new 연산자로 생성자 호출이 가능하다. 정적 필드도 private 접근 제한자를 붙여 외부에서 필드값을 변경하지 못하도록 막는다. 대신 외부에서 호출할 수 있는 정적 메소드인 getInstance( )를 선언하고 정적.. 더보기
List와 Map 간단하게 이해하기 List 데이터를 넣을 때 편하고 add(10); // 0 add(20); // 1 뺄때 귀찮다. - 인덱스 번호를 알아야 함. Map 데이터를 넣을 때 귀찮고 put("영희", 10); // 0 add("영수", 20); // 1 뺄때 편하다. - String값, 영희, 영수를 알면 값을 구할 수 있다. # List Article이 여러개 있다. List 숫자가 여러개 있다. List key가 String, value가 Object 형태인게 여러개 있다. # Article과 Map은 무슨 차이가 있을까 Article article = new Article( ); article.id = 10; Map a = new HashMap(); a.put("id",10); a.put("regDate", "2020-.. 더보기
클래스 선언 클래스 선언 작성 규칙 1. 하나 이상의 문자로 이루어져야 한다. 2. 첫 번째 글자는 숫자가 올 수 없다. 3. '$', '_' 외의 특수 문자는 사용할 수 없다 4. 자바 키워드는 사요할 수 없다. 관례 1. 클래스 이름이 단일 단어라면 첫 자를 대문자로 하고 나머지는 소문자로 작성한다. 2. 서로 다른 단어가 혼합된 이름을 사용한다면 각 단어의 첫 머리 글자는 대문자로 작성하는 것이 관례이다. public class 클래스 이름{ } 위의 public class키워드는 클래스를 선언할 때 사용하며 반드시 소문자로 작성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소스 파일당 하나의 클래스를 선언하지만 두 개 이상의 클래스 선언도 가능하다. public class Car{ } class Tire{ } 두 개 이상의 클래스가.. 더보기
객체와 클래스 객체란? 객체(Object)란 자신의 속성을 가지고 있고 다른 것과 식별 가능한 것을 말한다. 객체는 속성과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 예를 들어 사람은 이름, 나이 등의 속성과 웃다, 걷다 등의 동작이 있고, 자동차는 색상, 모델명 등의 속성과 달린다, 멈춘다 등의 동작이 있다. 자바는 이 속성과 동작들을 각각 필드(field)와 메소드(method)라고 부른다. 객체는 속성(필드)과 동작(메소드)으로 구성되어 있다. 클래스 메모리에서 사용하고 싶은 객체가 있따면 우선 설계도로 해당 객체를 만드는 작업이 필요하다. 자바에서는 설계도가 바로 클래스(class)다. 클래스에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필드(field)와 메소드(method)가 정의되어 있다. 클래스로 만들어진 객체는 해당 클래스의 인스턴스(.. 더보기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징 1. 캡슐화 (Encapsulation) - 외부 객체에서 -호출 가능-> 노출 메소드 -읽기/쓰기 가능-> 노출 데이터 -읽기/쓰기 불가능-> 숨긴데이터 -호출 불가능-> 숨긴 메소드 - 캡슐화란 객체의 필드, 메소드를 하나로 묶고, 실제 구현 내용을 감추는 것을 말한다. - 감내용을 감추는 이유는 외부의 잘못된 사용으로 인해 객체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 자바는 접근 제한자(Access Modifier)를 사용해서 사용 범위를 제한함으로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2. 상속(Inheritance) - 상위 객체는 자기가 가지고 있는 필드와 메소드를 하위 객체에게 물려주어 하위 객체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상위 객채 = 필드1 + 메소드1 하위 객체 = 필드1 + 메소드1 + 필드2 + .. 더보기